이로운 공예

The Extraordinary Ordinary
:Craft Brightens the Everyday World

한국공예관 3층 갤러리 6
Korean Craft Museum 3F, Gallery 6

"평범의 세계를 두려워해야 할 것인가?
가장 높은 수준의 공예시대는 위대한 것이 보통이 되는 시기가 아니겠는가?"

- 야나기 무네요시 『공예의 길』

"Should one be afraid of the world of the ordinary?
Would not the craft era of the highest level be a period in which the great become normal?”

Yanagi Muneyoshi The Craft

평범의 세계: 이로운 공예

이번 전시《평범의 세계: 이로운 공예》를 준비하며서 '평범'이라는 단어를 수없이 생각 했습니다.
'평범, 색다른 점이 없이 보통이다.' 라는 뜻을 내포한 이 단어를 접할 때, 때로는 다소 부정적인 느낌으로 다가올 때가 있습니다.
아마도 특별하지 않다는 의미 때문이겠죠.
실제로 작품을 감상하며 평범한 것을 찾는 사람들은 아무도 없습니다만, 저희는 이번 전시를 통해 공예가 가진 가장 큰 특성인
'노동', '다수(多數)'. 그리고 '쓰임'이라는 점을 생각하며 다시 한 번 '평범'이라는 말을 되짚어 보았습니다.
공예가들은 본인이 선택한 재료를 충분히 음미하며, 꾸준히 일을 합니다. 쓰임을 고려한 기물을 만들고, 더 나은 작품을 만들기 위해 노력을 더해갑니다.
많은 양을 만들고, 작가의 기량 또한 궤도에 올라 부족함이 없는 기물을 만듭니다.
단 하나의 걸작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는 현대미술의 예술가들과는 다른 점이지요.
이렇듯 공예가 만드는 '평범'은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단어의 뜻보다는 더 많은 것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그 안에는 노동, 노력, 시간, 그들의 고민, 그리고 사용자를 생각하는 마음이 담겨 있습니다.
저희는 공예가 가진 '평범'이라는 의미를 깊이 있게 보여주고자 국내외에서 활발하게 작품 활동을 선보이는 20명의 공예가들과 함께 <1부-가장 고요한 움직임>, <2부-친숙한 사물>, <3부-공예의 풍경>이라는 세 가지 파트로 나누어 구성하였습니다. '쓰임'을 가진 공예는 사용자의 눈길과 손길이 닿았을 때, 비로소 완성이 됩니다. 새로운 쓰임을 찾아 '누림'이 확장될 때 예측할 수 없는 새로운 세계가 펼쳐지는 것은 아닐까요?
이 전시를 통해 만드는 자, 바라보는 자, 사용하는 자가 서로를 알아보고 각자의 취향에 맞는 쓰임을 찾아 공예가들의 작품이 일상 속 ‘이로운 보통의 것’이 되는 ‘평범의 세계’로의 첫 걸음이 되었으면 합니다.

The extraordinary ordinary: Craft brightens the everyday world

I thought of the word 'ordinary' countless times while preparing the current exhibition, The extraordinary ordinary: Craft brightens the everyday world.
When encountering this word, implying the meaning of 'ordinary, being normal without any different aspects,' it sometimes approaches as a negative sensibility.
It is probably because of the meaning of not being special.
While no one actually looks for ordinary things while appreciating artworks, we retraced the word 'ordinary' while thinking of crafts' greatest characteristics of 'labor,' 'multiplicity,' and 'use' through this exhibition.
Craft artists sufficiently savor their materials of choice as they consistently work.
They make implements while considering the use, and they add efforts to create better works.
They produce in great quantity, and they also create objects of no insufficiencies as the artists' skills fall into place.
This is how they differ from contemporary artists, who strive for that one masterpiece.
As such, the 'ordinariness' crafts create imply more than the meaning of the word we commonly use.
Held in it are labor, effort, time, contemplation, and consideration for the user.
To display the meaning of crafts' 'ordinariness' in depth, we composed the exhibition in the three parts of Part 1: The Most Tranquil Movement, Part 2: Familiar Objects, and Part 3: The Landscape of Craft, with 20 craft artists actively presenting their work in Korea and abroad.
Crafts, which have 'utility,' are finally completed when the user's eyes and hands reach them.
Perhaps it is when 'enjoyment' expands in search of new uses that an unpredictable new world unfolds.
We hope the creator, viewer, and user will recognize one another and find uses fitting their respective tastes, thus taking the first step toward a 'world of the extraordinary ordinary' in which craft artists' works become 'beneficial usual things' in daily life.

참여작가

Part1 : 가장 고요한 움직임
The Most Tranquil Movement

전시를 맞이하는 첫 번째 파트는 〈가장 고요한 움직임〉입니다.

오랜 세월 축적된 작가들의 소리 없는 노력과 고민의 흔적을 보여주는 공간으로, 오로지 재료와 손끝에 기대어 작업을 하는 여섯 명의 작가들이 긴 시간을 집중해 완성한 작품들을 보여드리고자 합니다.
〈가장 고요한 움직임〉에서는 작가의 행위에 집중하여, ‘집적(集積, Piling and Stacking)’이라는 작품 제목만으로도 작품을 만드는 과정과 행위를 떠올리게 하는 이인진 작가의 도자 작품을 시작으로, 수천 번의 두드림으로 만들어낸 금속 기물에 옻칠을 올려 아름다움에 용이한 쓰임을 더한 박성철 작가, 유약을 조각내고 다시 붙이는 작업을 통해 섬세하게 반짝이는 도자 작품을 만드는 이진휘 작가, 맑은 공기를 머금은 듯한 오츠키 요스케(Otsuki Yosuke)작가의 유리 작품을 감상하실 수 있습니다.
아울러 청화 안료를 점묘법으로 산수화를 그려내어 먼 풍경을 감상하는 듯한 느낌을 전달하는 후 하이잉(Haiying Hu)작가의 평면 도자 작품과 한지를 커피로 물들여 달빛이 흐르는 듯한 공간을 만들어내는 유정혜 작가의 대형 설치 작품까지 말이 없는 작품에서 느껴지는 생동력을 느껴보시기 바랍니다.

The exhibition’s first part to welcome visitors is The Most Tranquil Movement.

It is a space displaying long-accumulated traces of artists’ silent efforts and contemplation, and we seek to present works completed through concentrating over extensive time by six artists working in sole reliance on materials and their fingertips.
We focus on the artist’s actions in The Most Tranquil Movement; beginning with Inchin Lee’s ceramic works titled Piling and Stacking, which alludes to the process and act of making art, one can admire works by Soungchuel Park, who added convenient utility to beauty by lacquering on metal vessels created by pounding the material thousands of times, and Jinhwi Lee, who creates delicately shiny ceramics through the process of fragmenting and reconnecting glaze, and glass works by Otsuki Yosuke, which seem to hold fresh air.
Together with this, we would like you to feel the vitality felt in silent works from Haiying Hu’s flat ceramics delivering the sensation of admiring distant scenery through pointillist landscape painting of blue and white pigment to Jounghye Yoo’s large installation pieces in which the artist dyes Korean paper with natural dye to create spaces where the moonlight seems to flow.

이진휘 ( Jinhwi Lee )
이인진 ( Inchin Lee )
오츠키 요스케 ( Otsuki Yosuke )
박성철 ( Soungchuel Park )
후 하이잉 ( Haiying Hu )
유정혜 ( Jounghye Yoo )

Part2 : 친숙한 사물
familiar object

2부에서는 우리 삶과 밀접한 ‘친숙한 사물’로써, 공예가 가진 ‘용도’에 대해 이야기하려고 합니다.

우리가 일상생활 속 마주하는 가구, 도자기, 유리 등 쓰임이 있는 공예 작품을 전시하며, 매일 쓰는 것에서 새로운 아름다움을 발견할 수 있는 공간으로 구성하였습니다.
그야말로 ‘작가의 감각’을 입고 태어난 작가들의 작품은 공예가 가졌던 예스러운 분위기를 벗고 현대적인 미감을 선보입니다.
또한 〈친숙한 사물〉에서는 폐유리병을 업사이클링하여 아름다운 일상공예품으로 만드는 박선민 작가와 바이오 플라스틱과 3D프린터를 활용해 전통적인 요소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디지털 크래프트를 선보이는 류종대 작가의 작품으로 앞으로의 공예를 제시합니다.
다채로운 매력과 쓰임을 가진 작품을 통해 우리 삶에 가깝고 친숙하게 자리한 공예를 생각하며, 매일 옷을 입고 거울을 보는 것처럼 우리 일상을 채우는 공예를 돌아보고 그 ‘사용자’로서의 우리를 생각해볼 수 있는 공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Part two is Familiar Objects, and we seek to speak of crafts’ ‘utility’ in it.

We are exhibiting craft works with utility, such as furniture, ceramics, and glassware we encounter in daily life, and we composed the space so one could discover novel beauty in things we use every day.
Artists’ works indeed born wearing ‘the artist’s sensibilities’ step out of the antiquated mood crafts had and present contemporary sensibilities.
Also, in Familiar Objects, we present future crafts through works by Seonmin Park, who up-cycles discarded glass bottles to create beautiful everyday craft objects, and Jongdae Ryu, who offers digital crafts modernly reinterpreting traditional elements using bio plastic and 3D printing.
We hope for this to become a space for thinking about crafts located close and familiarly to our lives, reflecting on crafts filling our daily lives like dressing and viewing the mirror every day, and pondering ourselves as the ‘users,’ as viewers appreciate works with colorful appeal and utility.

편소정 ( Sojung Pyeon )
류종대 ( Jongdae Ryu )
김규태 ( Gyutae Kim )
소소영 ( SOSOYOUNG )
손태선 ( Taeseon Son )
박선민 ( Seonmin Park )
최연철 ( Yeoncheol Choi )

Part3 : 공예의 풍경
The Landscape of Craft

마지막 파트, 〈공예의 풍경〉은 다양한 공예 작품이 한데 모여 어우러지는 하나의 풍경을 제시합니다.

오랜 세월 많은 사람들이 함께 쌓아 올린 지혜의 산물인 전통공예부터 자신만의 기법을 탐구해온 현대공예가들의 작품을 통해 우리 곁을 함께해 온 공예를 보여드리고자 합니다.
매일 옷을 입고, 의자에 앉아 수저를 들어 밥을 먹고, 밤이 되어 조명을 끄며 하루를 마무리할 때 까지 우리의 일상을 둘러싼 다양한 기물들이 함께 어우러져 평범한 하루를 채워나갑니다. 동시대 삶의 모습을 반영하는 공예, 과거에서 현재 그리고 미래로 향하는 공예의 의미와 역할을 사유할 수 있는 시간이 되길 바랍니다.

The final part, The Landscape of Craft, brings different crafts together, much like they surround us in our everyday lives.

Our rooms, in which we sit in a chair, pick up silverware to eat, or turn off the lights to finish the day, are all the combined products of the wisdom of many craftspeople amassed through time.
Crafts connect us to the past, populate the present, and point toward the future.
They fill our ordinary days with extraordinary harmony.

조대용 ( Daeyong Jo )
류지안 ( Jian Yoo )
권중모 ( Jungmo Kwon )
윤규상 ( Gyusang Yun )
박영호 ( Youngho Park )
김두봉 ( Dubong Kim )
박문열 ( Moonyeol Park )

Credits

2022 청주시한국공예관 상반기 기획전
<평범의 세계: 이로운 공예>

KOREAN CRAFT MUSEUM
The Extraordinary Ordinary
: Craft Brightens the Everyday World

주최 청주시
주관 청주시문화산업진흥재단

청주시한국공예관

시 장 한범덕

관 장 박상언

학예실장 박원규

학예팀 박한별, 이들닙, 윤지영, 구영애, 김지윤, 김동현

교 육 이들닙, 박선정

공연•시설 최효민, 박용식

홍 보 김상은, 박선정

뮤지엄숍 김민하, 김경희, 이은정, 이진아

경영지원 고영찬, 김현우, 권서영, 황연우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상당로 312
문화제조창 본관 3-4층
Tel. 043-268-0255
www.cjkcm.org

전 시

기 획 이들닙, 김지윤

교 육 박선정

시 설 최효민, 박용식

홍 보 박혜령, 김상은, 박선정

온라인전시

기 획 이들닙, 김지윤

제 작 (주)올림커뮤니케이션즈

그래픽디자인 피노미나

사 진 FREEVIEW, 하기포토

영 상 CREATION IS FUN

번 역 이한범

검 수 Frank Montesonti, 이예림

협 력

공간디자인 ㈜ 아워레이보

시 공 ㈜ 씨앤씨 파트너스

운 송 ㈜ 큐비스아트

KOREAN CRAFT MUSEUM
The Extraordinary Ordinary
: Craft Brightens the Everyday World

2022. 5. 10. ~ 7. 17.
3F, Gallery6, Cheongju Culture Factory

Host Cheongju City
Organizer Cheongju Cultural Industry
Promotion Foundation

Mayer Beumdeuk Han

Director Sangon Pak

Chief Curator Wonkyu Park

Curatorial Team Hanbyul Park, Deulnib Lee, Jiyoun Kim,Jiyoung Yoon, Donghyun Kim, Youngae Koo

Educator Deulnib Lee, Seonjeong Park

Performance&Facilities Hyomin Choi, Yongsik Park

PR Sangeun Kim, Seonjeong Park

Museum Shop Minha Kim, Kyounghee Kim, Eungjeong Lee, Jina Lee

Management Support Youngchan Koh, Hyunwoo Kim, Seoyoung Kwon, Yeonwoo Hwang

3F-4F Culture Factory, 314 Sangdang-ro
Cheongwon-gu, Cheongju-si, Chungbuk
Republic of Korea
Tel +82-43-268-0255
www.cjkcm.org

Exhibition

Curator Deulnib Lee, Jiyoun Kim

Educator Seonjeong Park

Facilities Hyomin Choi, Yongsik Park

PR Hyeryeong Park, Sangeun Kim, Seonjeong Park

Online Exhibition

Planning Deulnib Lee, Jiyoun Kim

Site Building OLYM COMMUNICATIONS

Graphic Design Phenomena

Photo FREEVIEW, HAKI PHOTO

Video CREATION IS FUN

Translation Hans Lee

Translation Editing Frank Montesonti, Yehrim Lee

Cooperation

Space Design OUR LABOUR

Construction CNC Partners

Transportation Qbis A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