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 영상

충북의 공예가

2001년 청주시한국공예관은 지역미술관으로서 지역의 정체성 제고와 지역공예가들의 발전, 시민들의 문화예술 향유를 위해 설립되었습니다.
이러한 목적과 취지에 맞춰 충북의 지역공예가를 소개하고 조명하기 위해 2006년부터 ‘충북의 공예가’가 시작되었습니다.
‘충북의 공예가’는 청주시한국공예관에서 지난 17여 년간 지역공예가를 조망하고 지역 공예계를 주목하고자 했던 전시 기획의 결실이자,
충북 지역 작가만이 가지고 있는 정신과 가치를 바탕으로 자신의 역량을 기르고 있는 지역의 공예가 모두를 지칭하는 단어입니다.

올 2023년에는 ‘충북의 공예가’라는 큰 주제 아래 각 공예 분야별 중견작가와 신진작가를 함께 비추어 보고자 합니다.
금속공예, 목공예, 섬유공예와 유리공예에서 지역 공예계, 더 나아가 국내 공예문화를 이끌었던 중견작가와 열정을 품고
공예계의 미래를 이어 나갈 신진작가들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지역 공예계의 과거와 현재 미래를 함께 조망할 뿐만 아니라,
중견작가와 신진작가들 간의 협업을 통해 세대 간의 연결과 유대감 강화를 추구하고자 하였습니다.

작가와 작품, 관객 모두 충북이라는 작지만 큰 테두리 안에서 서로에게 귀 기울이며 소통하고, 국내 및 인류 공예문화로 이어지는 첫 창구가 될 것입니다.
앞으로도 청주시한국공예관은 ‘충북의 공예가’라는 주제 아래 매년 다양한 기획 전시를 선보일 것이며, 신진작가의 발굴과 지원, 지역 공예 문화계에 대한
끊임없는 조망을 통해 폭넓은 문화 교류의 장을 열어 보이겠습니다.

English ver...

Chungbuk’s Craft

In 2001, the Korean Craft Museum was established as a local art museum to enhance regional identity,
improve local artists, and allow citizens to relish culture and art. Chungbuk’s Craft was launched in 2006
to introduce and spotlight local artists in Chungcheongbuk-do. Chungbuk’s Craft is the fruit of the museum’s
exhibition planning to shed light on local artists and pay attention to the local craft art scene
for the last 17 years. It also refers to all local artists who have been cultivating their abilities on the basis
of the spirit and value only Chungbuk’s artists retain.

In 2023, we intend to bring both established and emerging artists in each field of crafts together
under the title of Chungbuk’s Craft. This craft exhibition is designed to shed light on mid-career artists
who have led the local craft scene and Korean craft culture in textile, glass, metal and wood craft
as well as up-and-coming rising artists who will enthusiastically pave the way into the future. In addition,
to cast light on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the local craft world, we seek to strengthen connections and bonds
between generations through collaborations between established and emerging artists.

This will be the first window into domestic and human craft culture, as artists, works, and audiences
in this show all listen to and communicate with each other within the small but large confines of Chungbuk.
Korean Craft Museum in Cheongju will present various annual special exhibitions under the title of Chungbuk’s Craft
and will open the expansive forum for cultural exchanges by discovering and supporting rising artists
and providing insights into the local craft culture.

전체와 부분, 부분과 전체

우리는 훌륭한 공예 작품을 보며 다양한 요소를 감상합니다. 공예품의 기능을 생각하며 어떠한 재료로 만들어졌을지 살펴보고, 작품의 형태를
눈으로 그리며 미감을 발견합니다. 작품이 품은 작가의 숙련된 손길과 어마어마한 노력, 시간 또한 헤아려보고는 합니다. 이렇듯 공예품은
서로 긴밀하게 연관된 다양한 요소들이 모여 완성됩니다. 형태, 재료, 제작 기술 등 여러 요소의 복합적인 상호 관계가 곧 하나의 공예 작품이 되는 것입니다.
부분이 모여 만들어진 전체가 사물을 규정하면서도, 전체는 부분에 의해 달라지므로 전체와 부분은 결코 별개가 아닌 긴밀한 상호작용을 이룹니다.
그러기에 우리는 공예 작품을 바라보며 여러 요소가 이루어낸 작은 전체로서 이를 대하고 소통하게 됩니다.

이와 같은 관계는 비단 공예 작품뿐만 아니라 우리 공예문화계 자체의 모습이기도 합니다. 수많은 작가와 그들의 작품들이 공예문화 그 자체이면서도,
각각의 공예문화계가 다시금 수많은 작가와 작품에 영향을 미칩니다. 이 긴밀한 상호작용은 공예문화 내 활발하고도 중심적인 역할의 중견작가와
새로이 등장하는 신진작가들의 관계에서도 발견할 수 있는데, 숙련된 장인의 손기술과 새롭고 재미난 생각이 마주하여 서로를 존중하며 가르치고 배우며
공예문화의 현재와 미래를 이루어냅니다. 충북지역 공예작가들의 협업을 통해 드러나는 중견작가와 신진작가 간의 상호작용은 곧 충북지역 공예문화 자체를
보여주는 것입니다.

이번 전시를 구성하는 네 분야, 섬유공예, 유리공예, 금속공예, 목공예를 통해 충북 공예문화계의 일면을 조망해보고자 하였습니다. 각 분야의
중견작가와 신진작가, 총 8명 작가의 손과 재료, 형태가 이루어내는 하나의 작은 전체를 바라보려 합니다. 또한 작가 간 협업을 통해
서로가 서로에게 배우고 가르치며 제안하는 창조적 연결망은 부분 간의 연결점을 나타내는 따옴표가 될 것입니다.
여러 요소가 모여 조화를 이루는 공예 작품처럼, 작가-작품-관객이 만들고 과거-현재-미래가 이루어나가는 공예문화의 부분이자 작은 전체를 느껴보시길 바랍니다.

English ver...

Whole and Part, Part and Whole

We view a great piece of craft and appreciate its diverse and intricate elements. Thinking about the function of the craft,
we examine what materials it was made of, and try to discern its inherent sense of beauty. We also reflect on the exceptional
craftsmanship, the immense dedication, and the time invested in creating the piece. In this way, crafts are completed
by integrating various elements that are closely bound up with one another. The complex interrelationship
of these multifarious elements such as form, material, and facture combine to form a single craft work.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hole and its parts is intricate; they define each other, with changes in one directly
influencing the other. Thus, when viewing a craft work, we address and communicate with it as a small whole made up of many elements.

This kind of relationship is not only a reflection of craft works but also of our craft culture.
While numerous artists and their pieces are part of craft culture itself, artists and their works are
in turn influenced by each craft culture community. This close interaction can also be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lready established mid-career artists who assume an active and cardinal role in craft culture
and newly emerging craft artists. They have been shaping the present and the future of craft culture, respecting,
teaching, and learning from one another as the skilled craftsman’s dexterity meets the up-and-coming craftsman’s fresh
and intriguing ideas. The interaction between established and emerging artists in the Chungbuk region (North Chungcheong Province)
exemplifies the rich craft culture of this area. It's a testament to the region's tradition while embracing new talent and innovation,
fostering a vibrant and dynamic craft community.

This craft exhibition is designed to shed light on the craft culture of the Chungbuk region through its four sections: textiles,
glass, metal, and woodcraft. We examine the work created by the hands, materials, and forms of eight craft artists,
both established and emerging artists in each field. Moreover, the creative network where artists learn from each other,
exchange knowledge, and offer suggestions becomes a connecting thread between each part. Just like in craftwork where numerous elements harmonize,
our hope is for you to sense the intricate components and the subtle unity of craft culture, crafted by artists, artworks,
and observers alike, bridging the past, present, and future.
  • 이소라

    Lee Sora

  • 서다예

    Seo Daye

  • 이소라 × 서다예

    Lee Sora × Seo Daye

  • 김준용

    Kim Joonyong

  • 이기훈

    Lee Kihoon

  • 김준용 × 이기훈

    Kim Joonyong × Lee Kihoon

  • 이병훈

    Lee Byounghoon

  • 심예원

    Sim Yewon

  • 이병훈 × 심예원

    Lee Byounghoon × Sim Yewon

  • 김영식

    Kim Yeongsik

  • 심규석

    Sim Gyouseok

  • 김영식 × 심규석

    Kim Yeongsik × Sim Gyouseok

이전 다음

Credits

  • 2023 충북의 공예가
    <공예: 작은 전체>

    기간2023. 11. 14. ~ 2024. 1. 14.

    장소청주시한국공예관 갤러리 5

    주최청주시

    주관청주시문화산업진흥재단, 청주시한국공예관

    청주시한국공예관

    시장이범석

    관장변광섭

    본부장박원규

    학예실장안승현

    학예팀도경민, 이들닙, 김지윤, 유민우

    도슨트김미완

    스튜디오최효민,이진아

    교육최효민, 박선정, 이진아

    시설박용식

    홍보박선정

    뮤지엄숍김지은, 김경희, 김성란, 박수은

    경영지원김지은

  • 전시

    기획도경민, 김지윤

    교육박선정

    시설박용식

    홍보박선정

    온라인전시

    기획도경민, 김지윤

    제작웹플러스존

    그래픽디자인커넥트

    영상세컨플래닝

    사진더레이스튜디오

    번역유수연 번역회사

    협력

    공간디자인리바이브디자인

    시공민트컨디션

    운송㈜큐비스아트

  • 2023 Chungbuk’s Craft

    Period2023. 11. 14. TUE. ~ 2024. 1. 14. SUN.

    locationGallery 5, Korean Craft Museum

    HostCheongju City

    OrganizerCheongju Cultural Industry Promotion Foundation, Korean Craft Museum

    KOREAN CRAFT MUSEUM

    MayorLee Bumseog

    DirectorByeun Kwangsub

    Department HeadPark Wonkyu

    Chief CuratorAn Seunghyun

    CuratorDo Kyeongmin, Lee Deulnib, Kim Jiyoun, You Minwu

    DocentKim Miwan

    StudioChoi Hyomin, Lee Jina

    EducatorChoi Hyomin, Park Seonjeong, Lee Jina

    FacilitiesPark Yongsik

    PRPark Seonjeong

    Museum ShopKim Jieun, Kim Kyounghee, Kim Seongran, Park Sueun

    Management SupportKim Jieun

  • Exhibition

    CuratorDo Kyeongmin, Kim Jiyoun

    EducatorPark Seonjeong

    FacilitiesPark Yongsik

    PRPark Seonjeong

    Online Exhibition

    PlanningDo Kyeongmin, Kim Jiyoun

    Site BuildingWebpluszone

    Graphic DesignCONNECT

    VideoSecondplanning

    PhotoThe RAY Studio

    TranslationArtntext

    Cooperation

    Space DesignReviveDesign

    ConstructionMint Condition

    TransportationQbis Art Co.,

  • 이소라 Lee Sora
  • 옻칠 조각보 Ottchil Jogakbo
    이소라 작가는 우리 전통 조각보를 현대적인 시선과 감각으로 선보인다. 예민한 감각으로 섬유를 느끼고 천연염색과 옻칠로 물들이며, 섬세한 손바느질로 거대한 집합체를 이루어내는 작업에는 상상할 수 없는 시간과 노력이 수반된다. 염색과 건조를 반복한 작은 모시 조각들에 거듭 풀을 먹이고, 우리 전통 바느질법인 깨끼바느질로 선과 면을 이어 대규모 구성을 표현한다. 천연염색의 보완을 위해 더한 옻칠 작업은 특유의 정서적 깊이를 더한다. 자유로우면서도 완벽한 절제미가 느껴지는 조각보 작품들은 숙련된 손기술과 응축된 시간이 빚어낸 노력의 정수이다.

    Lee Sora skillfully approaches jogakbo (traditional Korean patchwork used for wrapping cloth, or bojagi) with a modern perspective, imbuing it with a contemporary essence. Her meticulous process involves keenly feeling the fabric, dyeing it with natural dyes and lacquers, and meticulously sewing delicate hand-sewn lines and planes. This intricate work, combining elaborate seams and traditional kkaekki sewing, demands an unimaginable amount of time and effort. The addition of lacquerwork to supplement natural dyeing enhances the emotional depth of her creations. Lee's jogakbo pieces, both free-spirited and perfectly controlled, are the quintessence of efforts made by skilled dexterity and condensed time.
  • 이전 다음
    • 옻칠 조각보 Ottchil Jogakbo #2, 2018, 170×170cm,
      모시에 옻칠 Lacquered ramie

    • Detail_옻칠 조각보 Ottchil Jogakbo #2

    • 옻칠 조각보 Ottchil Jogakbo #14, 2023, 120×120cm,
      모시에 옻칠 Lacquered ramie

    • Detail_옻칠 조각보 Ottchil Jogakbo #14

    • Detail_옻칠 조각보 Ottchil Jogakbo #14

    • Detail_옻칠 조각보 Ottchil Jogakbo #14

    • 옻칠 조각보 Ottchil Jogakbo #16, 2023, 85×85cm,
      모시에 옻칠 Lacquered ramie

    • Detail_옻칠 조각보 Ottchil Jogakbo #16

    • 전시 전경

  • 서다예 Seo Daye
  • 온새미로 Through Thick and Thin
    원사의 뒷면을 이용하여 패턴을 만드는 직물 제작 기법은 기원전 5세기부터 시작되어 주로 양탄자를 만들어 온, 인류의 오래된 전통 기법이었다. 수 세기 동안 손에서 손으로 이어진 기법은 19세기 후반에 이르러서야 기계의 도움을 받기 시작했다. 그럼에도 실 한 가닥 한 가닥이 모여 이루는 터프팅 작업은 작가의 큰 노력과 긴 시간을 담고 있다. 서다예 작가는 이러한 터프팅 기법을 통해 우리나라 전통 문양을 재해석한다. 일련의 작업 과정을 ‘길을 따라 실을 심는다’라고 말하며, 작가 자신을 녹여낸 현대적인 시선으로 전통을 바라본다.

    The technique of creating patterns using the back side of yarn is an ancient traditional technique of mankind from the 5th century B.C. used to produce carpets. The technique passed down for centuries, became mechanized in the late 19th century. Nevertheless, the tufting work, which is achieved by gathering each strand of thread, demands significant effort and time to achieve its intricate detail. Seo Daye reinterprets traditional Korean patterns using this technique. She refers to her process as ‘planting a thread along the path’ interpreting tradition from a modern perspective.
  • 이전 다음
    • 온새미로 Through Thick and Thin, 2023, 122×96cm,
      양모, BCF 원사 Wool, Nylon BCF

    • Detail_온새미로 Through Thick and Thin

    • 온새미로 Through Thick and Thin, 2023,
      가변크기 Dimension variable, BCF 원사, 양모, 폴리에스터실, 나무,
      은경 Nylon BCF, Wool, Polyester thread, Wood, Mirror

    • Detail_온새미로 Through Thick and Thin

    • Detail_온새미로 Through Thick and Thin

    • 서광曙光의 묘卯 Rabbit in Twilight, 2022, 116×95cm,
      양모, BCF 원사 Wool, Nylon BCF

    • Detail_서광曙光의 묘卯 Rabbit in Twilight

    • 전시 전경

  • 이소라 Lee Sora × 서다예 Seo Daye
  • 섬유라는 큰 분야로 묶이면서도 서로 다른 재료와 작업방식을 사용하는 두 섬유 작가가 협업하였다. 이소라 작가가 그린 조각보의 패턴을 바탕으로, 오랜 역사를 가진 각각의 기술들이 각자의 매력을 드러내며 어우러지는 색다른 느낌을 선사한다. 모시와 천연염색, 옻칠을 사용해 우리 전통 손바느질로 이은 이소라 작가의 조각보는 고유의 깊은 색과 현대적 정서를 드러낸다. 조각보의 패턴을 바탕으로 완성된 서다예 작가의 터프팅 작품은 원사와 양모를 사용하는데, 이때 작가는 직접 염색하는 과정을 거쳐 작가만의 색감을 추구한다. 전통 패턴과 응축된 손기술이라는 공통점 아래에서 특유의 미감을 지닌 두 작품이 주고받는 대화가 들리는 듯하다.

    Two fiber artists, both connected to the broad field of textiles but employing distinct materials and work methods, collaborated with each other. Based on the patchwork pattern drawn by Lee Sora, each technique with a long history reveals its own magnetism and provides a distinctive sense of harmony. Lee’s jogakbo made by traditional Korean hand sewing using ramie, natural dyes, and lacquer, discloses its deep colors and modern sensibility. Seo Daye’s tufting work completed based on the patchwork patterns uses yarn and wool, and Seo pursues her own unique colors, going through a dyeing process. It seems that a dialogue between the two pieces, each with its unique aesthetics, can be sensed within the shared foundation of traditional patterns and intricate hand techniques.
  • 이전 다음
    • 서다예 Seo Daye, 온새미로 Through Thick and Thin, 2023, 120×45×33cm,
      양모, BCF 원사, 나무 Wool, Nylon BCF, Wood

    • 서다예 Seo Daye, 온새미로 Through Thick and Thin, 2023, 120×45×33cm,
      양모, BCF 원사, 나무 Wool, Nylon BCF, Wood

    • Detail_서다예 Seo Daye 온새미로 Through Thick and Thin

    • Detail_서다예 Seo Daye 온새미로 Through Thick and Thin

    • Detail_서다예 Seo Daye 온새미로 Through Thick and Thin

    • 옻칠 조각보 Ottchil Jogakbo #15, 2023, 100×100cm,
      모시에 옻칠 Lacquered ramie

    • Detail_옻칠 조각보 Ottchil Jogakbo #15

    • 이소라x서다예 협업 전시 전경

  • 김준용 Kim Joonyong
  • Line and Texture
    블로잉과 연마기법을 통해 아름다운 유리를 피워내는 김준용 작가의 작품은 자연의 한 점을 떼어온 듯 스스로 빛난다. 유리 두께의 차이가 만드는 특유의 색감과 섬세한 표면을 담은 유리 작품은 빛이라는 외부 요소로 완성됨에도 불구하고 본디 자신이 품고 있던 빛인 것처럼 완벽하게 어우러진다. 바라보는 각도마다 다른 느낌의 표면은 멈춰있는 작품이 살아 숨 쉬는 착각에 빠져들게 만든다. 각각의 작품이 만들어내는 빛과 분위기는 보는 이로 하여금 작가의 시선과 의도에 동화되도록 이끈다.

    Kim Joonyong's exquisite glass works, crafted through meticulous blowing and polishing techniques, radiate a beauty that seems to be detached from nature. The glass pieces, displaying distinctive hues and intricate surfaces due to variations in glass thickness, are perfected by the external element of light. Surprisingly, they blend seamlessly with each other, as if they inherently possess the light they now reflect. The surfaces, morphing under varying visual angles, infuse vitality into his otherwise inert creations, making them appear alive and breathing. The light and mood engendered by each work lead the viewer to assimilate his gaze and intent.
  • 이전 다음
    • Once in A Spring 2021-2, 2021, 13×13×30cm, 유리 Glass

    • Red Sunset, 2022, 40×40×39cm, 유리 Glass

    • Spring Blossom, 2023, 45×45×30cm, 유리 Glass

    • Sunset in July, 2023, 46×46×30cm, 유리 Glass

    • Sunset on a Green Flower, 2023, 31×31×28cm, 유리 Glass

    • 전시전경

    • 전시전경

    • 전시전경

  • 이기훈 Lee Kihoon
  • Streams of Energy
    이기훈 작가의 유리 작품은 무수히 많은 통로가 지난다. 각각의 작품들이 품은 맥脈은 생명이며 기운이자 흐름이고 연결이다. 용암 같은 열기 속에서도 변화하는 유리를 보며 작가가 느꼈던 생동감이 완성된 작품 안에도 고스란히 담겨있다. 작가의 작업은 사물이면서도 동시에 상징이다. 개개인이 일상에서 느끼는 작은 연결에서부터 자연·생명·전체와 이어지는 거대한 연결에 이르는 ‘맥’에 대한 작가의 생각이 작품을 통해 드러난다.

    Lee Kihoon's glass creations journey through countless passages, embodying life, energy, flow, and connection. Each piece carries the liveliness and vitality he witnessed observing glass metamorphose in intense heat akin to lava. His art serves as both an object and a symbol, encapsulating his contemplation on 'veins'—from the subtle connections individuals experience daily to the grander interplay of nature, life, and the cosmos.
  • 이전 다음
    • Streams of Energy #30, 2023, 23×23×29cm, 유리 Glass

    • Streams of Energy #31, 2023, 12×12×15.5cm, 유리 Glass

    • Streams of Energy #34, 2023, 16×16×24cm, 유리 Glass

    • Streams of Energy #32, 2023, 16.5×16.5×23cm, 유리 Glass

    • Detail_Streams of Energy #32

    • Detail_Streams of Energy #28

    • Streams of Energy #38, 2023, 12×12×23.5cm, 유리 Glass

    • 전시전경

    • 전시전경

  • 김준용 Kim Joonyong × 이기훈 Lee Kihoon
  • 국내를 넘어 세계적으로 그 아름다움과 기술을 인정받은 김준용 작가의 유리공예가 제자인 이기훈 작가의 유리공예와 함께했다. 스승과 제자가 함께 작업한 작품은 두 작가의 독특한 미감을 모두 담아내어 더욱 빛을 발한다. 작품 내부에는 이기훈 작가 특유의 맥脈 표현이 두드러지며, 김준용 작가의 연마를 거쳐 탄생한 형태와 색감이 조화를 이룬다. 마치 처음부터 하나였던 양 독특하고 유일한 사물로서 존재하면서도, 두 작가의 작업적 특성이 어우러진 작품은 또 다른 독창적인 집합체로서 소통한다. 재료와 기술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감각적 조화를 이루어내는 공예는 창조적 대화에 대한 문화적 가능성을 시사한다.

    Kim Joonyong’s glass art whose beauty and technique are appreciated not only domestically but also internationally is on show with glass work by his pupil Lee Kihoon. The artwork the teacher and his apprentice worked on in collaboration with each other shines even more brightly, capturing the unique aesthetic sense of the two artists. The expression of veins unique to Lee Kihoon stands out in this work. The forms and colors born through Kim’s polishing are in harmony. Although this work exists as a sole and distinctive object, as if it had been one from the beginning, this piece, in which two artists’ work characteristics mingle harmoniously, communicates as a creative aggregate. The work of glass art, which achieves sensuous harmony based on their knowledge of materials and techniques, intimates a cultural possibility for creative conversation.
  • 이전 다음
    • Stream_Brown

    • Detail_Stream_Brown

    • Stream_Green

    • Stream_Orange

    • Stream_Purple

    • Stream_White

    • 전시전경

  • 이병훈 Lee Byounghoon
  • 유희적 금속 Playful Metal
    단단한 금속을 두들겨온 시간은 인류가 스스로를 담금질해온 역사의 시간과 깊이가 같다. 철을 달구고 두들긴다는 행위에 깃든 의미는 더없이 깊고 단단하다. 이병훈 작가의 금속 작품들은 철 그 자체를 탐구하고자 하는 수행으로 이루어진 무거운 존재감과 단단한 자태를 띄고 있다. 철의 물성과 두드리는 행위 자체에 몰두하는 작가의 작업은 자연을 문화의 영역으로 옮겨오기 위해 작가의 창조성이 구체적으로 발현된 것이다. 실체적 사물로 옮겨온 작가의 세계는 근원적이고 견고한, 살아있는 전통이다.

    The passage of time he has pounded hard metal mirrors the depth of human history, where humanity has hardened itself over the ages. The meaning behind the act of heating and striking iron is infinitely deep and strong. Lee Byounghoon’s metal craftworks have a heavy presence and solid appearance brought about by his exploration of steel itself. His work, which concentrates on the material property of iron and the act of pounding it, is a concrete manifestation of his creativity to bring nature into the realm of culture. His world translated into a tangible object is an elemental, solid, living tradition.
  • 이전 다음
    • Object Table, 2023, 30×30×45.5cm, 철, 황동 Iron, Brass

    • Pot 01, 02, 2023, 20×20×48cm(×2개), 철, 황동 Iron, Brass

    • Pot 04, 05, 2023, 10×33×15cm(×2개), 철, 나무 Iron, Wood

    • 이것은 포트가 아니다 01, 02, 2023, 16×8×20, 30×13×28cm,
      철, 황동 Iron, Brass

    • Pot 06, 2023, 22×13×15cm, 철 Iron

    • Pot 07, 2023, 21×35×29cm, 철 Iron

    • 전시전경

    • 전시전경

  • 심예원 Sim Yewon
  • 일상의 한 장면을 담은 장신구
    Capturing a Scene of Everyday Life

    정교한 손기술은 의심할 여지 없이 공예가 가진 불변의 속성이다. 인간의 손이 만든 공예품은 인체와의 관계 속에서 여러 요소가 결정되고, 특히 장신구의 경우 인체를 위해 물리적으로 만들어지기에 제작자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작가가 만들어내는 여러 장신구는 작가의 정교하고 세심한 손길을 바탕으로 아름다운 조형성과 편안한 착용감을 추구한다. 여러 금속과 유리, 옻칠 등 다양한 재료를 활용해 작가가 경험하는 일상 속 특별한 순간들을 작품으로 포착해낸다.

    Exquisite and elaborate manual skill is undoubtedly an immutable attribute of craftsmanship. Artifacts made by human hands are determined by multiple factors in their relations with the human body. In particular, accessories are physically made for the human body, so special attention is required from the maker. Sim Yewon meticulously crafts her accessories, aiming for both exquisite aesthetics and comfortable wearability. Her pieces reflect her skilled artistry and attention to detail, ensuring a delightful blend of form and function. She captures special moments in her everyday life using a variety of materials such as metal, glass, and lacquer.
  • 이전 다음
    • 새싹 Sprout, 2023, 8×11×3cm, 정은, 동,
      옻칠 Silver, Lacquered copper

    • 숲 Forest, 2022, 14×9.5×2cm, 백동, 깃털, 레진 White copper,
      Feather, Resin

    •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Alice in Wonderland, 2020, 5×9×5.7cm,
      동, 금도금, 유리 Copper, Gold plating, Glass

    • 작은 주전자 A Small Kettle, 2023, 16×2.5×1.6cm,
      정은, 동, 옻칠 Silver, Lacquered copper

    • 토끼굴 Rabbit-hole, 2020, 8.4×5.7×3cm,
      동, 금도금, 유리 Copper, Gold plating, Glass

    • 틈-새싹-작은 주전자 Gap-Sprout-A Small Kettle, 2023,
      정은, 동, 옻칠 Silver, Lacquered copper

    • 헤엄 Swimming 1, 2022, 12×6×4.5cm, 갈대, 실, 레진,
      정은 Reed, Thread, Resinm Silver

    • 흔적 Trace 2, 2023, 8×5.8×2cm, 동, 백금 도금 Copper,
      Platinum plating

    • 전시전경

  • 이병훈 Lee Byounghoon × 심예원 Sim Yewon
  • ‘어떻게까지 가능하며, 어디까지 확장해나갈 것인가’는 모든 공예가가 가진 고민이며 원동력이다. 철을 두드리는 행위 자체가 가진 문화적, 역사적 의미와 금속공예 특유의 고도한 섬세함은 자연의 물질을 다뤄 인간 세계를 창조해온 가능성과 확장의 역사이다. 이병훈 작가의 작업은 작가 특유의 유머를 잃지 않으면서도, 셀 수 없이 철을 두드리는 수행과 같은 반복 작업이 가지는 행위의 무게와 균형을 이룬다. 단단히 홀로 선 작업의 가볍지 않은 무게감은 물질을 떠나 작품에 깃든 신체적 반복행위의 연장선이다. 심예원 작가의 정교한 작업은 장신구라는 목적 아래 신체 지향적으로, 인간의 몸과 몸의 행동을 위한다. 두 작가가 같은 스케치를 바탕으로 작업한 각각의 공예 작품은 결국 세상과 마주하는 신체의 감각을 일깨운다.

    All craftspeople have been concerned about and earned their spurs from the questions ‘How possible is it, and how far will it expand?’ The cultural and historical meaning of the act of striking iron itself and the high level of delicacy unique to metal crafts may explain a history of expansion and possibility in creating the human world by manipulating natural materials. Lee Byounghoon’s work achieves a balance with the weight of repetitive practices such as pounding iron countless times as if practicing asceticism, yet never losing his own distinctive sense of humor. The sense of weight in the work standing firmly is thought of as an extension of the repetitive action found in his work. Sim Yewon’s elaborate work is for the human body and its action with the purpose of being an accessory. Each craftwork the two artists executed on the base of the same sketch ultimately awakens a sense of the body facing the world.
  • 이전 다음
    • 심예원 Sim Yewon, 나뭇가지 Branch, 2023, 11.5×9.5×2cm,
      정은, 동, 옻칠 Silver, Lacquered copper

    • 이병훈 Lee Byounghoon, Hommage of Branch, 2023, 23×53×40cm,
      철 Iron

    • 전시전경

  • 김영식 Kim Yeongsik
  • 연꽃살문·완자살문·아자국화살문
    Korean Traditional Window and Door

    김영식 창호장은 1972년 입문하여 50여 년의 시간 동안 창호를 만들어왔다. 2017년 충청북도 창호제작 명장으로 선정되었으며, 여러 문화재 보수 작업에 이바지하였다. 창호장은 우리 전통의 창호들을 연구하고 개발해왔으며 후세로 이어가고자 노력하고 있다. 그가 만드는 창호는 치열한 계산과 정밀한 손기술이 응집된 결과물이다. 전통창호 특유의 못 하나 쓰지 않고 짜맞춤만으로 제작한 정교한 결구법結構法이 돋보인다. 오직 나무와 장인의 손, 시간과 노력으로 이루어진 창호는 우리 전통 건축 특유의 공간 정서를 자아낸다.

    Kim Yeongsik, an artisan of Korean traditional window and door making launched his career in 1972, and has been making windows and doors for over 50 years. Designated a master window and door maker in Chungcheongbuk-do in 2017, he has dedicated himself to repairing cultural properties. He has researched and developed traditional Korean windows and doors and passed them down to future generations. His windows and doors are the result of his meticulous calculations and precise manual skills. The meticulous method of intricately structuring components unique to traditional windows and connecting them together without the use of nails is particularly noteworthy. The windows and doors made of only wood and by an artisan’s hands, time, and effort arouse a spatial emotion peculiar to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 이전 다음
    • Detail_아자 국화살문 亞 and Chrysanthemum-patterned door

    • Detail_아자 국화살문 亞 and Chrysanthemum-patterned door

    • Detail_연꽃살문 Lotus-patterned door

    • Detail_연꽃살문 Lotus-patterned door

    • Detail_연꽃살문 Lotus-patterned door

    • Detail_완자살문(아자살) 亞-patterned door

    • 완자살문(아자살) 亞-patterned door, 2020, 174×71×3.6cm,
      홍송 Korean pine

    • (왼쪽부터) 완자살문(아자살)亞-patterned door,
      연꽃살문 Lotus-patterned door,
      아자 국화살문 亞 and Chrysanthemum-patterned door 2020-2021,
      174×71×3.6, 200×82×5.5(×2개), 174×71×3.6cm,
      더글러스, 햄록, 홍송 Douglas fir, Hemlock, Korean pine

  • 심규석 Sim Gyouseok
  • 자극을 이루는 시선의 기록 Record of Stimulating Gaze
    심규석 작가는 여행을 다니며 느꼈던 행복감이나 경험을 소재로 자연의 일부분을 회상할 수 있는 공간을 구현하고자 한다. 목재의 다양한 시각적 요소와 유리의 만남은 단아하면서도 서정적인 분위기를 안겨준다. 우리 전통 목가구와 제작 방법에 관한 관심을 바탕으로, 현대적인 미감을 추구하면서도 일상생활에 자연스럽게 녹아드는 실용성을 담아내려 한다.

    Sim Gyouseok aims to evoke a sense of nature in viewers, using subjects like happiness and personal experiences he encountered during his travels to create a space that resonates with the natural world. The encounter of diverse elements of wood and glass generates an elegant and lyrical atmosphere. He pursues a modern aesthetic sense and explores practical use imbued naturally in daily life based on an interest in Korean traditional wooden furniture and manufacturing methods.
  • 이전 다음
    • 물놀이 Playing in the water 1, 2022, 70×60×6cm,
      참나무, 유리 Oak, Glass

    • Detail_물놀이 Playing in the water 1

    • 물놀이 Playing in the water 2, 2023, 7×5×22~15×7×90cm(×13개),
      물푸레나무, 유리 Ash, Glass

    • 물놀이 Playing in the water 3, 2023, 60×30×4cm(×7개),
      보고테, 단풍나무, 유리 Bogote, Maple, Glass

    • Detail_물놀이 Playing in the water 3

    • 물놀이 Playing in the water 6, 2023, 66×66×5cm,
      단풍나무, 유리, 스테인리스 스틸 Maple, Glass, Stainless steel

    • Detail_물놀이 Playing in the water 6

    • 전시전경

  • 김영식 Kim Yeongsik × 심규석 Sim Gyouseok
  • 스승을 찾아 배움을 구하고 기술이 전수되는 일은 문화가 만드는 파도의 원동력이다. 목공예에 대한 관심만을 가지고 스스로 공장과 기계를 찾아다니며 독학한 젊은 작가가 50년 넘게 나무를 만져온 장인을 만났을 때, 단기간에 오랜 기술을 배움에는 부족하였으나 손기술과 목공예에 대한 열정만큼은 새로운 전환점이 되었다. 전통창호의 제작법과 우리 창호 고유의 전통 문양은 유구한 미감을 지닌 채 현대 공예의 큰 영감으로 작용한다. 두 작가의 작품은 자연과 인간의 연속성을 고스란히 드러내며, 자연의 물질성과 인간의 창조성을 함께 내비친다. 자연과 인간, 전통과 현대가 함께 녹아있는 이들의 협업은 고즈넉하면서도 서정적인 정서를 창출한다.

    Seeking education by finding a teacher who can hand down techniques and skills is the driving force behind the waves engendered by culture. When a young, self-taught craftsman, intrigued by woodcraft, was exploring factories and machinery, encountering a master artisan with over 50 years of experience in woodworking, it became apparent that mastering longstanding techniques in a short span was impractical. However, his passion and adeptness in woodcraft marked a new turning point in his journey. The facture of our traditional windows and doors and their unique patterns work as a great inspiration for contemporary craft makers due to their timeless aesthetic sense. The two artists’ pieces apparently reveal the continuity of nature and humans, insinuating nature’s materiality and humanity’s creativity together. Their collaborative effort, blending nature with humanity and merging traditions with modernity, evokes a serene and lyrical emotion.
  • 이전 다음
    • 심규석 Sim Gyouseok, 물놀이 Playing in the water 4, 2023, 60×60×200cm,
      단풍나무, 물푸레나무, 참나무, 유리 Maple, Ash, Oak, Glass

    • Detail_심규석 Sim Gyouseok, 물놀이 Playing in the water 4

    • Detail_심규석 Sim Gyouseok, 물놀이 Playing in the water 4

    • 김영식 Kim Yeongsik, 완자살 卍-patterned window(좌),
      국화꽃살 Chrysanthemum-patterned window(우),
      2019, 33.7×71.5×3, 34×86.5×3cm, 육송 Korean red pine

    • 물놀이 Playing in the water 5, 2023, 26×180×49cm(×2개), 호두나무, 단풍나무 Walnut, Maple

    • Detail_물놀이 Playing in the water 5

    • Detail_물놀이 Playing in the water 5

    • 전시전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