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영상

청주시한국공예관 옻칠기획전 <칠흙으로부터>

청주시한국공예관에서는 옻칠기획전을 통해 옻칠의 오랜 역사와 함께 발전해온 삶에 유용한 아름다움에 대하여 이야기하며,
옻칠 공예의 다양한 면모를 살펴보고자 합니다.
제목에서처럼 이번 전시의 키워드는 ‘칠흑’입니다. 헤아릴 수 없는 어두움을 일컬어 “칠흑 같다”라는 말을 합니다.
옻칠처럼 검고 광택이 있음을 뜻하는 ‘칠흑’이라는 단어를 통해 우리의 일상 속에 옻칠 문화가 얼마나 깊이 스며들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기원전 3세기경, 청동기 시대에서부터 옻칠이 시작되어왔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실제로 삼국사기나 조선왕조실록에도 칠기를 만들기 위해
좋은 옻을 채취하기 위한 노력을 찾아볼 수 있으며, 전국에 수많은 옻나무 재배나 칠기 제작에 관련된 지명에서도 우리나라의 오랜 옻칠 문화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우리가 사용하는 언어와 지명까지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옻칠 문화가 2,000여 년의 시간 동안 우리 곁에 남아있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아마 전통적인 이유는 옻칠의 효능 때문이었을 것입니다. 나무나 금속에 칠하면 좀과 녹이 슬지 않고 열에도 강해 천연 마감재이자 접착제로서 사용되어 왔고,
약재와 음식까지 옻은 우리 생활의 많은 부분에 도움이 되어왔습니다. 그리고 긴 세월이 지난 지금의 우리는 ‘친환경’이라는 이슈 속에서
옻칠 공예를 재조명하며, 그 속에서 현대적인 미감을 발견합니다.

이번 전시는 전통부터 동시대까지 옻칠 공예의 긴 호흡을 보여주기 위해 9명의 작가, 그리고 국립무형유산원과 함께 세 가지 파트로 구성하였습니다.
첫 번째 파트는 ‘칠흑으로부터’에서는 국립무형유산원 전승공예품과 충북무형문화재 제27호 칠장 김성호의 작품을 소개합니다. 검은 옻칠을 바탕으로
화려하게 반짝이는 자개가 돋보이는 함과 호족반, 방이나 마루 벽에 걸어놓고 편지나 종이를 보관하던 고비부터 말 안장까지, 옻칠의 다양한 쓰임과
긴 세월 칠기 문화를 지켜온 장인들의 노력을 엿볼 수 있을 것입니다. 두 번째는 다양한 재료 위에 옻칠의 변주, ‘은은한 빛으로부터’입니다.
이 파트에서는 강우림, 김수미, 노경주, 정은진, 4명의 작가를 통해 나무, 도자, 금속, 유리와 조화를 이루는 현대의 옻칠을 선보입니다. 또한, 이번 파트에서는
우리에게 조금 생소한 ‘킨츠기’라는 공예 기법을 만나볼 수 있습니다. 깨진 도자에 생옻으로 결합한 뒤 금분이나 은분 등으로 장식하는 공예기법인 ‘킨츠기’를 통해
옻칠 공예의 또 다른 확장을 보여주고자 합니다. 마지막 파트 ‘견고함으로부터’, 이제 수백 번의 옻칠이 만들어내는 시간의 겹을 만나볼 차례입니다.
옻칠은 천년을 간다는 말이 있습니다. 그만큼 견고하다는 뜻입니다. 그 견고함 뒤에는 작가의 행위가 있습니다. 이 파트에서 소개하는 4명의 작가, 김옥,
박성열, 유남권, 허명욱은 각기 다른 방법으로 공예를 넘어 삶을 실천하는 재료로서의 옻칠을 보여줍니다.

옻칠은 옻나무 수액을 바르는 것을 이야기합니다. 다른 공예 분야와 다르게 도자, 유리, 금속과 같은 재료이기만 한 것이 아니라 그 자체가 기법이고
작가의 행위입니다. 그렇기에 옻칠 공예는 켜켜이 쌓아가는 옻칠의 두께만큼 쌓여가는 ‘시간성’을 보여주는 예술이기도 합니다. 2,000년이라는 세월을 지켜온
옻칠 공예는 수많은 사람들의 끊임없는 행위가 이어지며 칠흑 같은 어둠을 견뎌온 것인지도 모르겠습니다. 이번 청주시한국공예관 옻칠기획전 <칠흑으로부터>를 통해
옻칠 공예가 이어온 시간, 깊이 있는 흐름을 만나보시기 바랍니다.

English ver...

Cheongju City Korean Craft Museum Ottchil Curatorial Exhibition: From That Blackness

Through an ottchil, traditional Korean lacquer or lacquering, curatorial exhibition, the Cheongju City Korean Craft Museum
seeks to examine diverse aspects of ottchil while discussing the practical beauty that has developed with ottchil’s
long history. As the title suggests, this exhibition’s keyword is “blackness,” or chilheuk (lit. “lacquer black”).
Koreans refer to thick darkness as being “like chilheuk.” One can ascertain how deeply ottchil culture permeates our daily lives
through the word chilheuk, which means “black and shiny like lacquer.”

It is known that ottchil began around the third century B.C., in the Bronze Age, in Korea. Indeed, one can find efforts
to collect quality lacquer to create lacquerware in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and The Veritable Records of the Joseon Dynasty,
as one can verify Korea’s long lacquer culture in the numerous place-names related to lacquer-tree growing or lacquerware production
throughout the country. What might be the reason ottchil culture, which is greatly influencing the language and even place-names
we use, remains by our side for over two millennia? The traditional reason was probably because of ottchil’s effects.
Ottchil has been used as an all-natural finishing material and adhesive since lacquering wood or metal repels moths or prevents
rusting while improving the heat endurance, and lacquering has aided many aspects of our living, from medicine to food.
After a long time, we today re-highlight the craft of ottchil surrounded by the issue of environmental friendliness,
as we discover modern aesthetic sensibilities in it.

Together with the National Intangible Heritage Center, we composed this exhibition with nine artists in three parts to exhibit
the traditional and modern ottchil craft’s lasting harmony. In the first part, From That Blackness, we introduce the works of Kim Seongho,
National Intangible Heritage Center Traditional Crafts Department Chungbuk Intangible Cultural Asset Number 27.
From cases and a hojokban (lit. “tiger-footed small table”) remarkable for their mother-of-pearl splendidly sparkling
on a base of black lacquer and a letter/paper holder of the kind hung on walls in rooms or by building ledges to a horse saddle,
one will be able to glimpse ottchil’s various uses and the efforts of master craftspeople who have dedicated themselves
to lacquerware culture for lengthy time. The second part, From Quiet Light, is a variation of ottchil on various materials.
Through the four artists Kang Woorim, Kim Sumi, Noh Kyungjoo, and Jeong Eunjin, we present modern ottchil harmonizing with wood,
ceramics, metal, and glass in this section. Also, viewers may meet a craft technique called kintsugi, which is a bit novel to us.
The intention is to present another expansion of ottchil through kintsugi, the craft technique of mending broken pottery with unprocessed
lacquer and decorating it with gold or silver powder.

For the final section, From Strength, it is now time to meet the layers of time hundreds of lacquer applications create.
There is a saying that ottchil lasts a thousand years. It means the material is that strong. Behind that strength are the artist’s actions.
The four artists we introduce in this part, Kim Ok, Park Sungyeol, Lyu Namgwon, and Huh Myoungwook, present in their respective ways ottchil
as a material transcending craft to practice life.

Ottchil refers to applying the sap of lacquer trees. Unlike other craft fields, it is not just a material like ceramic minerals, glass,
or metal and is a technique and the artist’s action in itself. Therefore, ottchil is also an art displaying qualities of time building up like
the ottchil’s thickness, which the artist builds up layer by layer. The craft of ottchil, which has been continuing for two millennia,
has perhaps been enduring the lacquer-black darkness as the ceaseless actions of countless people continued. We hope you will meet the time
and profound flow ottchil has been continuing through the Cheongju City Korean Craft Museum’s current ottchil curatorial exhibition, From That Blackness.
이전 다음

PART 1. 칠흑으로부터

우리나라에서는 기원전 3세기 이전, 청동기 시대부터 옻칠 문화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국립무형유산원 전승공예품과 충북무형문화재 제27호 칠장 김성호의 작품을 통해 예로부터 사용되어온
옻칠의 다양한 쓰임과 긴 세월 칠기 문화를 지켜온 장인들의 노력을 엿볼 수 있을 것입니다.

PART 1. From That Blackness

One can find ottchil culture beginning before the third century B.C.,
in the Bronze Age, in Korea. Through works by The Ottchil master Kim Sungho,
Chungbuk-do Intangible Cultural Asset Number 27 and the works from National Intangible Heritage Center,
viewers will be able to glimpse the various uses of ottchil,
which has been used since antiquity, and the efforts of master craftspeople
who have dedicated themselves to lacquerware culture for a long time.

  • 김성호

    Kim Seongho

  • 국립무형유산원

    National Intangible Heritage Center

PART 2. 은은한 빛으로부터

옻은 나무나 금속에 칠하면 좀과 녹이 슬지 않고 열에도 강해 천연 마감재이자 접착제로 사용되어 왔습니다.
현대 공예의 옻칠은 금속, 나무, 도자, 섬유, 유리 등 다양한 공예 재료와 어울리며, 재료에 따라 다른 빛깔을 자아냅니다.

PART 2. From Quiet Light

Ott has been used as an all-natural finishing material and adhesive
because it repels moths or prevents rusting when applied to wood or metal.
Modern craft’s ottchil goes well with various craft materials, including metal,
wood, ceramic minerals, fibers, and glass, and it produces different colors depending on the material.

  • 강우림

    Kang Woorim

  • 김수미

    Kim Soomi

  • 노경주

    Noh Kyeongjoo

  • 정은진

    Jung Eunjin

PART 3. 견고함으로부터

천년을 견디는 옻칠의 견고함 뒤에는 수백 번의 옻칠을 반복하는 작가의 행위가 있습니다.
다른 공예 분야와 다르게 도자, 유리, 금속과 같은 재료이기만 한 것이 아니라 그 자체가 기법이고 작가의 행위입니다.
공예를 넘어 삶을 실천하는 재료로서의 현대 옻칠 작품을 만나보시기 바랍니다.

PART 3. From Strength

Behind the strength of thousand-year-lasting ottchil is the artist’s act of
repeatedly applying lacquer hundreds of times.
Unlike other craft fields, it is not just a material such as ceramic minerals,
glass, or metal, and it is a technique and the artist’s act in itself.
We hope you will meet modern ottchil works as crafts transcending craft to practice living.

  • 김옥

    Kim Ok

  • 박성열

    Park Seoungyeol

  • 유남권

    Lyu Namg won

  • 허명욱

    Huh Myounguk

Credits

  • 옻칠기획전 <칠흙으로부터>

    기간2023. 11. 21.(화) ~ 2024. 1. 14.(일)

    장소청주시한국공예관 갤러리 3

    주최청주시

    주관청주시문화산업진흥재단, 청주시한국공예관

    청주시한국공예관

    시장이범석

    관장변광섭

    본부장박원규

    학예실장안승현

    학예팀도경민, 이들닙, 김지윤, 유민우

    도슨트김미완

    스튜디오최효민, 이진아

    교육최효민, 박선정, 이진아

    시설박용식

    홍보박선정

    뮤지엄숍김지은, 김경희, 김성란, 박수은

    경영지원김지은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상당로 314
    문화제조창 본관
    Tel. 043-219-1800
    www.cjkcm.org
  • 전시

    기획도경민, 이들닙

    교육박선정

    시설박용식

    홍보박선정

    도록

    편집이들닙

    교정이들닙

    번역한스번역

    디자인모노디트리

    사진더레이스튜디오

    협력

    공간디자인(주)야탑

    그래픽디자인모노디트리

    온라인전시웹플러스존

    영상로그아트

    운송㈜큐비스아트

  • 2023 Ottchil Curatorial Exhibition : From That Blackness

    Period2023. 11. 14.(TUE) ~ 2024. 1. 14.(SUN)

    locationGallery 3, Korean Craft Museum

    HostCheongju City

    OrganizerCheongju Cultural Industry Promotion Foundation, Korean Craft Museum

    KOREAN CRAFT MUSEUM

    MayorLee Bumseog

    DirectorByeun Kwangsub

    Department HeadPark Wonkyu

    Chief CuratorAn Seunghyun

    CuratorDo Kyeongmin, Lee Deulnib, Kim Jiyoun, Yu Minu

    DocentKim Miwan

    StudioChoi Hyomin, Lee Jina

    EducatorChoi Hyomin, Park Seonjeong, Lee Jina

    FacilitiesPark Yongsik

    PRPark Seonjeong

    Museum ShopKim Jieun, Kim Kyounghee, Kim Seongran, Park Sueun

    Management SupportKim Jieun

    3F-4F Culture Factory, 314 Sangdang-ro,
    Cheongwon-gu, Cheongju-si,
    Chungcheongbuk-do,
    Republic of Korea
    Tel +82-43-219-1800
    www.cjkcm.org
  • Exhibition

    CuratorDo Kyeongmin, Lee Deulnib

    EducatorPark Seonjeong

    FacilitiesPark Yongsik

    PRPark Seonjeong

    Catalogue

    EditingLee Deulnib

    ProofreadingLee Deulnib

    TranslationHan’s Translations

    DesignCONNECT

    PhotoThe RAY Studio

    Cooperation

    Space DesignYATOP

    ConstructionYATOP

    Graphic DesignMono di Tri

    Online ExhibitionWebpluszone

    VideoLogart

    TransportationQbis Art Co.,

  • 김성호 KIM SUNGHO
  • 충청북도무형문화재 제27호 칠장 김성호는 1972년부터 나전장 김봉룡·이성운 장인에게 옻칠 기술을 배워 전통의 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옻칠 기법 중 모시나 삼베를 심으로 해 칠을 입히는 ‘건칠 기법’에서 뛰어난 솜씨를 지니고 있다고 평가받고 있으며, 옻칠과 나전을 활용하여 현대적인 미감을 지닌 평면작품과 가구 등 다양한 작품을 선보이고 있습니다.

    Ottchil master Kim Sungho, Chungbuk-do Intangible Cultural Asset Number 27, learned ottchil techniques from the mother-of-pearl masters Kim Bongryong and Lee Sungwoon beginning in 1972 and is continuing the tradition’s pulse. He is evaluated to possess exceptional skill in the ‘dry Ottchil(lacquering) technique,’ of applying lacquer with ramie or hemp cloth, and is using ottchil and mother-of-pearl to present diverse works including flat-surface pieces and furniture with contemporary aesthetic sensibilities.
  • 이전 다음
    • 나전 사신도함 Mother-of-Pearl Four-Spirit-Picture Case
      홍송나무, 자개, 옻칠 Mother-of-pearl,
      Ottchil on Red pine, 720×430×170mm

    • 나전 석류문 함 Mother-of-Pearl Pomegranate Design Case
      홍송나무, 자개, 옻칠 Mother-of-pearl,
      Ottchil on Red pine, 650×430×150mm

    • 사계 Four Seasons 목판에 자개, 옻칠 Mother-of-pearl,
      Ottchil on Wood, 450×1800×50mm

    • 전시전경

    • 전시전경

  • 국립무형유산원 National Intangible Heritage Center
  • 살아 있는 무형문화유산을 만나는 곳, 국립무형유산원
    이곳의 전시된 작품은 문화재청 국립무형유산원의 전승공예품 은행 소장품입니다. 국립무형유산원은 전통 공예의 우수성을 홍보하기 위해 무형문화유산 전통기술 분야 전승자들이 제작한 작품을 구입하여 전승공예품 은행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전승공예품 은행은 작품 대여료를 무상으로 지원하고 있으며, 국내 정부기관이나 공공기관·박물관, 해외 대사관 및 문화원 등의 전시환경조성을 통해 K-무형유산의 세계화와 국가이미지 제고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 National Intangible Heritage Center, Where One Meets Living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e works exhibited here are owned by the Traditional Crafts Bank of the National Intangible Heritage Center of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The National Intangible Hertiage Center purchased works by craftspeople in the traditional technique area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is running a traditional crafts bank in order to promote the excellence of traditional craft. The Traditional Crafts Bank lends works free of charge and is contributing to the globalization of Korean intangible heritage and the enhancing of our national image through the creation of exhibition environments for government agencies, public institutions, and museums in Korea as well as embassies and culture centers overseas.
  • 이전 다음
    • 국가무형문화재 제10호 나전장 송방웅(故)
      고비 190 × 650 × 105mm 2017

    • 국가무형문화재 제10호 나전장 이형만
      포도동자문함 280 × 200 × 150mm 2012

    • 국가무형문화재 제10호 나전장 전승교육사 양옥도(故)
      해포문낭경대 220 × 310 × 160mm 2018

    • 국가무형문화재 제113호 칠장 이수자 김효석
      나전 호죽반 450 × 450 × 290mm 2014

    • 국가무형문화재 제113호 칠장 정수화
      나전 서류함 540 × 345 × 120m 2023

    • 전북무형문화재 칠장 전승교육사 이선주
      회포문말안장 390 × 610 × 300mm 2018

    • 전시전경

    • 전시전경

  • 강우림 KANG WOORIM
  • 강우림 작가의 Organic relation 시리즈는 인간과 자연의 관계에 대한 의미를 담았습니다. 나무에 옻칠로 완성한 이 시리즈는 두 가지 재료의 특성을 모두 살려 나무 안에 내재 되어 있는 자연의 질서와 조화를 표현합니다. 나무의 우아한 결을 옻칠로 매만져주는 듯합니다.

    Kang Woorim’s Organic Relation series includes significance regarding humans and nature’s relationship. Completed with Ottchil(lacquering) on wood, this series brings out all of the properties of the two materials to express nature’s order and harmony inherent in wood. It is as if embossing the elegant texture of wood with ottchil.
  • 이전 다음
    • (팔걸이 無) Organic Relation_Dining chair
      켈로브라, 옻칠, Ottchil on Kelobra, 465x760x1080mm, 2023

    • Organic Relation_Desk2 단풍나무, 옻칠,
      Ottchil(Natural lacquer) on Maple, 2950x900x750mm, 2021

    • Organic relation_dining chair,
      465x760x1080(h), kelobra, lacqure

    • 전시전경

  • 김수미 KIM SUMI
  • 킨츠기는 킨은 일본어로 ‘금金’이고, 츠기는 ‘이어 붙이다’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깨진 기물을 생옻으로 결합한 뒤 금분이나 은분 등으로 장식하는 공예의 일종으로 복원 작업에 많이 사용되는 기법입니다.
    김수미 작가는 산산이 깨지고 부서져 쓸모를 잃은 기물을 킨츠기로 수리하는 작업을 합니다. 일본 교토에서 킨츠기, 옻칠, 마키에 공예를 공부하였으며, 주로 깨진 차 도구에 킨츠기 작업으로 새로운 생명을 불어넣습니다.

    The Japanese word Kintsugi consists of kin, meaning “gold,” and tsugi, meaning “to connect and affix.” It is a kind of craft mending broken objects with unprocessed lacquer and decorating them with gold or silver powder, and it is frequently used for restoration work.
    Kim Sumi repairs utensils that have been shattered and lost their usability with Kintsugi. She studied Kintsugi, ottchil, and maki-e (lit. “spray picture”) in Kyoto, Japan and mainly infuses broken tea utensils with new life using the Kintsugi process.
  • 이전 다음
    • losifina kosma 의 킨츠기(金継ぎ Kintsugi) 도자, 옻, 순금 케시훈,
      Ceramic, Ottchil, Gold, 450350350mm, 2023 (2)

    • losifina kosma 의 킨츠기(金継ぎ Kintsugi) 도자, 옻, 순금 케시훈,
      Ceramic, Ottchil, Gold, 450350350mm, 2023

    • 킨츠기(金継ぎ Kintsugi) 도자, 옻, 순금, 히라메,
      Ceramic, Ottchil, Gold, 45027050mm, 2023

    • 킨츠기(金継ぎKintsugi)-고이마리 카스가이 도자, 옻, 순금 마루훈,
      카스가이, Ceramic, Ottchil, Gold, Ø10095, 2022

    • 킨츠기(金継ぎ Kintsugi)-고이마리 도자, 옻, 삼베, 순금 케시훈,
      순금 마루훈, Ceramic, Ottchil, Gold, Ø45x50mm, 2022

    • 킨츠기(金継ぎ Kintsugi)-이마리 도자, 옻, 순금 마루훈,
      Ceramic, Ottchil(Natural lacquer), Gold, 704010mm, 2023

    • 킨츠기(金継ぎKintsugi)-고이마리 카스가이 도자, 옻,
      순금 마루훈, 카스가이, Ceramic, Ottchil, Gold, Ø10095, 2022

    • 전시전경

    • 전시전경

  • 노경주 NOH KYUNGJOO
  • 노경주 작가는 금속에 옻칠을 접목시켜 회화적 표현과 함께 실용적이고 모던한 느낌의 장신구와 모빌을 만들어냅니다. 자연에서 영감을 받은 형태와 차갑게 느껴지는 금속에 전통 공예 기법인 옻칠을 더한 그녀의 작품은 바람에 흔들리는 나무와 잎사귀를 떠올리게 합니다.

    Noh Kyungjoo creates accessories and mobiles of a practical and modern feel, along with painterly expressions, by combining metal with ottchil. Her works, adding the traditional craft technique of ottchil to nature-inspired forms and cold-feeling metal, are reminiscent of trees and leaves swaying and rustling in the wind.
  • 이전 다음
    • Mobile_Turn Red 황동, 알루미늄에 옻칠,
      600x600x800mm 2021

    • 모빌 시리즈 Mobile Series 황동, 나무, 알루미늄에 옻칠,
      가변설치 2021-2023 Ottchil(Natural lacquer) on Brass, wood Aluminum, Variable Installation

    • 모빌 시리즈 Mobile Series 황동, 나무, 알루미늄에 옻칠,
      가변설치 2021-2023 Ottchil(Natural lacquer) on Brass, wood Aluminum, Variable Installation

    • 모빌 시리즈 Mobile Series 황동, 나무, 알루미늄에 옻칠,
      가변설치 2021-2023 Ottchil(Natural lacquer) on Brass, wood Aluminum, Variable Installation

    • 브로치 시리즈 Brooch series 혼합매체, 옻칠,
      가변설치 2020-2023 Ottchil on Mixed Media

    • Drawing Moon 알루미늄에 옻칠,
      ottchil on Aluminum 120x100x15 2021

    • Square_Brooch 알루미늄에 옻칠,
      ottchil on Aluminum 120x120x10 2022

    • 전시전경

  • 정은진 JEONG EUNJIN
  • 현대의 옻칠은 유리 위에서도 영롱하게 빛이 납니다. 어린 시절부터 옻칠을 접해온 정은진 작가가 선택한 매체는 유리였습니다. 작가가 디자인한 유리 기물 위에 올라간 옻칠은 경쾌한 느낌을 가지며, 현대인의 일상을 빛내 주는 아름다운 기물이 됩니다.

    Modern ottchil brilliantly glows even on glass. The medium Jeong Eunjin, whose familiarity with ottchil reaches back to her childhood, selected was glass. The ottchil that has climbed on glass utensils the artist designed has an airy feel and becomes beautiful utensils polishing modern people’s daily lives.
  • 이전 다음
    • 上아토 Ato 유리, 옻칠 Ottchil on glass 90x90x80mm 2022-2023,
      下옻칠유리접시 Ottchil Glass Plate 유리, 옻칠 Ottchil(Natural lacquer) on glass 300x300x65mm, 200x200x50mm 2022-2023

    • 上아토 Ato 유리, 옻칠 Ottchil on glass 90x90x80mm 2022-2023,
      下옻칠유리접시 Ottchil Glass Plate 유리, 옻칠 Ottchil(Natural lacquer) on glass 300x300x65mm, 200x200x50mm 2022-2023

    • 아토 Ato 유리, 옻칠 Ottchil on glass 90x90x80mm 2022-2023

    • 옻칠유리접시 Ottchil Glass Plate 유리,
      옻칠 Ottchil(Natural lacquer) on glass 300x300x65mm, 200x200x50mm 2022-2023

    • 화병 Vase 유리, 옻칠 Ottchil on glass, 180x180x220mm 2023

    • 화병 Vase 유리, 옻칠 Ottchil on glass, 180x180x220mm 2023

    • 전시전경

    • 전시전경

  • 김옥 KIM OK
  • 김옥 작가는 2000년 전부터 발전해온 우리 전통 문화인 옻칠을 마감재가 아닌 표현재로 활용합니다. 이번 전시에서 만나볼 수 있는 ‘머지시리즈(Merge Series)’는 그녀의 대표작으로, 길목을 오가는 이들의 염원을 담아 작은 돌로 쌓아올린 소망 탑을 모티브로 제작하였다고 합니다. 여러 형태의 소망을 쌓듯 다양한 컬러의 옻칠을 칠하고 말리기를 반복하여 완성된 작품은 크고 작은 원기둥 형태로 구성된 오브제는 사용자의 쓰임에 따라 의자가 되고 낮은 테이블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Kim Ok uses ottchil, our traditional culture which has been developing since two millennia ago, as a material for expression, not as a finishing material. The Merge Series, accessible in this exhibition, is her exemplary work and is said to have been created on the motif of aspiration towers built up with small stones to hold the wishes of those passersby. Composed in the form of large and small cylinders constituting the piece completed by repeating applying and drying variously colored ottchil as if building up many kinds of wishes, the objets can become chairs or low tables depending on the user’s needs.
  • 이전 다음
    • Merge C350 금속에 옻칠 Ottchil on Metal Ø350x425mm, 2023

    • Merge_D560 금속에 옻칠 Ottchil on Metal 560x450x560mm, 2016

    • 전시전경

    • 전시전경

    • 전시전경

  • 박성열 PARK SUNGYEOL
  • 박성열 작가는 나무, 금속, 흙, 천 등 형태를 만들 수 있는 재료들을 배제하고, 오로지 옻으로 만든 수만 개의 선이 서로를 지탱하는 구조를 보여줍니다. 이렇게 완성된 Inborn ott 시리즈는 옻이 가진 특유의 탄성을 지니며, 옻칠의 두께만큼 시간을 응축한 느낌을 자아냅니다.

    Park Sungyeol excludes shapable materials like wood, metal, clay, and cloth and displays structures in which tens of thousands of lines made purely of lacquer support one another. Thus completed, the Inborn Ott series possesses lacquer’s characteristic elasticity and produces a feeling of having condensed time in proportion to the ottchil’s thickness.
  • 이전 다음
    • inborn ott-020 옻칠 Ottchil, Ø250x180(mm), 2023">

    • 옻칠 동컵 Ottchiled Brass Cup 황동,
      옻칠 Ottchil(Natural lacquer) on Brass, 2023

    • inborn ott-019 옻칠, Ø255x170(mm) Ø230x130(mm) 디테일

    • inborn ott-019 옻칠, Ø255x170(mm) Ø230x130(mm)

    • inborn ott-020 옻칠, Ø250x180(mm) 디테일

    • inborn ott-020 옻칠, Ø250x180(mm)

    • W.O-001 물푸레나무, 옻칠, Ø450x480(mm), 디테일

    • W.O-001 물푸레나무, 옻칠, Ø450x480(mm), 박성열

    • 좌) Inborn ott-019 옻칠 Ottchil,
      Ø255x170mm, Ø230x130mm, 2023 우)W.O-001 물푸레나무,
      옻칠 Ottchil(Natural lacquer) on Ash Tree Ø450x480mm, 2022

    • 흔적 Trace

    • 전시전경

    • 전시전경

  • 유남권 LYU NAMGWON
  • 유남권 작가는 종이로 만든 기물을 옻칠로 마감하는 전통 기법인 지태칠기를 활용해 감각적인 오브제를 선보입니다. 한지의 거친 질감 위로 옻칠이 스며들고 겹치게 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작가만의 레이어를 쌓아가는 방법으로 독특한 분위기를 구현합니다. 그는 동양화를 전공하며 배운 배접 기법을 활용해 견고한 형태를 만들고, 수백 번의 붓칠을 통해 옻의 자연스러운 흐름을 담은 지태칠기 작품을 완성합니다.

    Lyu Namgwon presents sensuous objets using the jitae (lit. “paper ceramic”) lacquerware process, a traditional technique of finishing utensils made of paper with ottchil. Lyu realizes a unique atmosphere with the method of building up the artist’s own layers while repeating the process of causing ottchil to seep into and overlap with the rough texture of Hanji, Korean rice paper. He creates sturdy forms using the layer-combining technique he learned while specializing in Eastern painting, and he completes works of jitae lacquerware including lacquer’s natural flow through hundreds of brush strokes.
  • 이전 다음
    • Jitaechilgi(Bench series) 자작합판, 종이, 옻칠 Ottchil(Natural lacquer)
      on Wood, Paper, 1600x240x430mm(each), 2022 (2)

    • Jitaechilgi(Bench series) 자작합판, 종이, 옻칠 Ottchil(Natural lacquer)
      on Wood, Paper, 1600x240x430mm(each), 2022

    • Stroke 물푸레나무, 옻칠 Ottchil(Natural lacquer) on Ash Tree, Paper,
      250x250x1700mm(each), 2023

    • Stroke 물푸레나무, 옻칠 Ottchil(Natural lacquer) on Ash Tree, Paper,
      250x250x1700mm(each), 2023

    • 전시전경

  • 허명욱 HUH MYOUNGWOOK
  • 매일 아침 그날의 감정을 담아 직접 색을 배합하여 자신만의 색을 만들어 바탕에 옻칠을 올리는 허명욱 작가, 그는 본인이 원하는 색을 구현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해왔습니다. 오랜 노력 끝에 발견한 ‘옻칠’로 그가 원하는 감각적인 색을 만들어낼 수 있었다고 합니다. 그에게 있어 옻칠은 단순한 기법이 아닌 작가의 삶을 표현해내기 위한 수단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Huh Myoungwook, who personally mixes colors reflecting his daily sentiments each morning to create his own colors and adds ottchil to the base, has been making diverse efforts for realizing the colors he wants. He says he was able to create the sensuous colors he wanted with ottchil, which he discovered after extended efforts. It holds that ottchil to him is a means to express the artist’s life, and not a simple technique.
  • 이전 다음
    • Untitled 금속에 옻칠,
      금박 Ottchil and gold leaf on metal 1220x900mm, 2023

    • Untitled 혼합매체,
      옻칠 Mixed Media with Ottchil(Natural lacquer), 800x2440x42mm, 2023

    • Untitled 혼합매체,
      옻칠 Mixed Media with Ottchil(Natural lacquer), 800x2440x42mm, 2023

    • detail

    • 전시전경